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보고서

최신보고서

보고서
2018 01/30
국내 대체투자펀드의 특성 및 수익률 분석 조사보고서 18-01 PDF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목적과 범위

Ⅱ. 대체투자펀드의 현황 분석
  1. 대체투자펀드의 개념과 유형
  2. 대체투자펀드시장의 개황
  3. 대체투자펀드의 세부 유형별 특성 분석
  4. 소결

Ⅲ. 대체투자펀드의 수익률 분석
  1. 대체투자펀드의 성과측정
  2. 대체투자펀드의 수익률 추이 분석
  3. 세부 유형별 수익률 분석
  4. 세부 유형별 수익률 분포 분석
  5. 설정 이후 수익률 추이 분석
  6. 소결

Ⅳ. 결론 및 시사점
  1. 분석 결과 요약
  2. 대체투자펀드시장의 개선방안
요약
저금리 상황의 지속과 주식시장의 침체 속에서 투자자들의 대체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국내 대체투자펀드시장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로 기관투자자의 수요가 증대하였고, 이에 부응하여 자산운용사들이 다양한 대체투자펀드를 도입함에 따라 수탁고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체투자펀드의 특성과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체투자펀드시장의 건전한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체투자펀드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체투자펀드의 유형별 수익률분석을 통해 대체투자펀드 수익률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대체투자펀드시장이 당면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대체투자펀드시장은 기관투자자의 대체투자펀드에 대한 수요 증가와 자산운용사의 다양한 대체투자펀드 도입에 힘입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체투자시장의 여건과 투자전략에 따라 대체투자펀드의 세부 유형별 비중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대체투자펀드의 모집방식별 비중을 살펴보면 사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장의 투명성은 낮은 상황이다.

대체투자펀드의 신규 설정 추이를 보면 일부 기간에 특정 유형의 펀드에 대한 쏠림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는 일부 대체투자유형의 공급이 감소함에 따라 새로운 투자대상의 발굴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대체투자펀드의 유형별 펀드당 순자산가치, 존속기간 등을 비교해보면 유형별로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대체투자펀드의 경우 투자대상이 다양하고, 투자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가 도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체투자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주식형펀드보다는 변동성이 낮고 채권형펀드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세부 유형별 대체투자펀드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수익률 수준과 추이 및 수익률 분포 등에 있어 유형별로 커다란 차이가 존재한다. 특히 일부 유형의 수익률 분포는 군집성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설정 이후 수익률곡선을 살펴보면 펀드유형별로 각기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동산대출형, 부동산임대형, 해외리츠, 국내인프라, 선박ㆍ항공기, 기타국내특별자산 유형의 펀드는 초기부터 수익이 발생하는 수익률곡선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부동산개발, 글로벌부동산 유형은 J-curve 형태의 수익률 곡선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체투자펀드시장의 특성 분석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체투자펀드시장은 사모형태로 모집이 이루어져서 투명성이 낮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해외대체투자펀드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기관투자자의 외환위험 노출이 증가하고, 운용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대체투자펀드는 특정 연도별로 일부 유형의 펀드에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쏠림현상은 대체투자대상의 공급 변동과 더불어 자산운용사간의 과도한 경쟁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특정한 펀드로의 쏠림현상과 시장 여건 변화에 따른 펀드의 대규모 손실이 수익률 왜곡현상을 초래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펀드 특성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부족이 대체투자펀드의 합리적인 투자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세부적인 시장 정보가 부족하여 대체투자펀드 투자시 시장 전반의 상황을 감안하기 보다는 개별 투자안에 집중한 투자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대체투자펀드의 세부 유형별 수익률 분포를 보면 일부 유형에서 군집화 특성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형내 펀드의 개별적인 투자성과 차이로 인한 요인보다는 펀드 유형 구분 오류에 의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유형구분의 오류는 유형별 성과 분석이나 벤치마크 설정 등에 있어 스타일이 다른 대상과 비교를 함으로써 투자성과를 왜곡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체투자펀드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대체투자펀드시장 전반의 정보제공을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체투자펀드에 대한 공시규제를 강화하는 방안과 대체투자 규모가 큰 기관들을 중심으로 협의체를 구성하여 정보교류를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대체투자관련 정보를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시장에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기관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체투자펀드의 합리적인 벤치마크 설정, 투자전략 수립 및 성과평가 등을 위해 투자대상의 특성과 수익률 군집화를 감안한 대체투자펀드의 유형 기준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별 대체투자펀드별로 투자대상의 특성과 위험요인 및 펀드 특성에 대한 정보와 펀드 수익률 정보가 제공되고 동 정보에 근거하여 펀드의 군집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체투자의 규모가 큰 기관을 중심으로 기존의 대체투자에 대한 성과분석에 근거하여 유형 기준이 도입되고 이러한 기준을 공유하는 방안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셋째, 대체투자펀드의 쏠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대체투자대상을 확대하려는 자산운용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대체투자 대상을 발굴하고 이를 상품화하는 자산운용사의 능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자산운용사의 대체투자펀드 성과에 대한 정보 제공이 확대되어야 한다. 운용사별 투자성과에 대한 정보 제공이 확대되어야 투자자들이 이에 근거하여 특정 부문에 전문성을 지닌 자산운용사를 선택할 수 있다. 특정한 부문에 전문성을 지닌 자산운용사가 등장하여 높은 운용성과를 거두는 경우 시장의 평판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과도한 상품경쟁 및 쏠림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합리적인 공모 대체투자펀드의 활성화가 추진되어야 한다. 일부 성과가 좋은 사모펀드를 모아서 재간접 공모펀드를 도입하거나 공모의 방식에 적합한 일부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공모펀드를 도입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공모형 대체투자펀드에 대한 수수료체계가 현실화되고 다양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용의 탄력성을 제고하는 규제체계 개선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