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학력
Ph.D., The University of Chicago, 2004
M.A.,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6
B.A.,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2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2010 -
삼성금융연구소, 2007 - 2010
SK경영경제연구소, 2005 - 2007
McKinsey Co., 2004 - 2005

보고서

오피니언

글로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사업 진출 / 2022. 05. 02
최근 대형 글로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관련 사업 준비와 참여가 빨라지고 있다. 그간 가상자산에 있어서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JP모건 등의 글로벌 금융회사는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취해왔으며, 이는 가상자산의 불명확한 법적 지위와 높은 가격변동성을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글로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에 대한 태도 변화는 고객의 수요가 그만큼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관련 사업은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가상자산에 대한 이해도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담 조직을 구축하고 리서치 등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가상자산 전문 인력 및 기술 확보를 위해 관련 핀테크 기업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관투자자와 고액자산가를 중심으로 가상자산 관련 트레이딩 및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에도 나서고 있다. 현재 가상자산 시장의 혁신은 핀테크 기업들이 이끌고 있으나, 가상자산 시장이 규모나 발전도 측면에서 의미 있는 수준으로 올라섰으므로, 글로벌 금융회사의 진출로 인해 향후 가상자산 시장을 둘러싼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ESG 채권시장의 다변화 및 발행 후 공시 강화의 필요성 / 2021. 11. 22
글로벌 ESG 채권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 글로벌 ESG 채권 발행 규모는 이미 전년도의 90%에 육박하는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연말에는 2020년의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ESG 채권시장의 구성도 다변화되고 있다. 그간 글로벌 ESG 채권시장은 녹색채권 중심으로 성장해왔으나,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에는 사회적채권과 지속가능채권발행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2020년에 지속가능연계채권원칙, 기후전환금융 핸드북 등의 기준이 마련되면서 발행주체 기반도 확장되고 있다. 반면, ESG 채권시장 저변확대에 따라 그린워싱 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항은 ESG 채권 발행 후 공시, 특히 자금의 활용 및 영향에 대한 정보의 개선이다. ESG 채권으로 조달된 자금이 기후변화, 양극화 등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에 실질적으로 얼마나 영향을 발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시장의 신뢰가 견고해지고 ESG 채권시장이 더욱 발전할 수 있다.
골드만삭스 사례를 통해 바라본 금융투자회사의 ESG 경영 / 2021. 05. 31
최근 ESG 경영은 모든 기업의 주요 화두이며, 금융투자업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금융투자회사의 ESG 경영은 시장 중개자로서 자사와 더불어 타사의 ESG 수준을 제고하고, 나아가 투자자의 ESG 수요를 충족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해외 금융투자회사 중에서도 ESG 경영 도입에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골드만삭스의 ESG 경영은 우선적으로 명확한 원칙에 기반하며, ESG가 사업 전반에 연계될 수 있는 조직구조와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다. 반면, ESG 경영이 효과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과제도 상당하다. 특히, ESG 관련 데이터 및 공시의 양적ㆍ질적 제고 등 기반 인프라와 생태계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ESG 금융투자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꾸준한 정보제공 및 논의를 통한 인식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에는 국내 금융투자회사에도 중요한 역할이 부여된다.
2020년 글로벌 금융그룹의 실적 및 평가 / 2020. 12. 21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 실물경제는 큰 충격을 받고 있으나, 다수의 글로벌 금융그룹들은 오히려 수혜를 입고 있다. 최근 발표된 2020년 3/4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올해 주요 금융그룹의 수익은 전년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인다. 코로나19가 주요 금융그룹의 소매ㆍ상업은행 사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시장의 변동성 증가에 따른 트레이딩 사업 수익의 증가는 이를 충분히 상쇄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2020년의 불확실성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는 2021년에는 트레이딩 수익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경제활동의 정상화 과정에서 기업 자금조달, M&A, 구조조정 등 투자은행 사업 관련 수익은 증가할 것으로 점쳐진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연구보고서] 
기업 소유구조가 국내 상장사 간 합병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8
국내 M&A 시장의 특징 및 M&A 성과 결정요인 분석, 2017
국내 증권사 해외진출 특징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016 
미국 증권회사의 특화-전문화 전략: 부티크IB 사례 중심으로, 2015 
맥쿼리 그룹의 성장사례 및 한국 증권회사에 주는 시사점, 2013 
국내 증권산업의 환경변화와 대응방안: 2020 증권산업 비전, 2013 
글로벌 국부펀드 현황 및 시사점, 2012 


[학술용역] 
기업가치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2017, 금융감독원)
브렉시트의 경제적 영향 분석과 한국의 대응 전략(2016, 대외경제정책연구소)
금융상품 미스터리쇼핑의 신뢰도 제고 및 합리적 활용방안(2015, 금융감독원) 
핀테크 혁신에 대응한 증권금융의 역할과 과제(2015, 한국증권금융) 
성장사다리 지표 개발(2014, 성장사다리펀드) 
아태지역 금융감독기구 담당자 역량 강화(2014, 수출입은행) 
중소형 증권사 성장을 위한 정책과제(2013, 금융위원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부펀드 발전방향 연구(2013, 한국투자공사) 
산은금융그룹의 아시아 자본시장 진출 전략(2010, KDB산업은행) 


[기타 출간물]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의 아시아 시장 재진출 움직임(자본시장포커스, 2018-01호)
독립투자자문업(IFA) 제도 도입 및 향후 과제(자본시장포커스, 2017-13호)
최근 중국의 해외 M&A 관련 움직임 및 한국시장에 미치는 영향(자본시장포커스, 2016-06호)
브렉시트의 배경과 향후 전망(자본시장 Weekly, 2016-24호)
국내 위탁매매시장 부침과 증권사 해외진출 동조화(자본시장 Weekly, 2016-21호) 
국내 M&A시장의 고성장과 재무자문 시장의 불균형(자본시장 Weekly, 2015-46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럽 유니버설뱅크의 사업구조 변화(국제자본시장리뷰, 2015년 상반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외 증권사의 아시아 시장 진출 현황(자본시장 Weekly, 2015-22호) 
실버세대 고객 대상 금융서비스의 위험과 기회(자본시장Weekly, 2014-45호) 
국내 금융소비자보호 제도의 개선 방향(자본시장Weekly, 2014-14호) 
거시 금융산업 및 금융시장(자본시장 Perspective, 2014 Vol, 6, No. 1) 
국내 증권사 자산관리 서비스의 현황 및 과제(자본시장 Weekly 2013-09호) 
중국 자산운용시장의 현황 및 전망(중국 금융시장포커스, 2012 겨울호) 
수요자 관점에서의 중소형 증권회사 특화-전문화(자본시장 Weekly, 2012-29호) 
미국 증권산업 경쟁구도의 변화와 중소형 증권회사의 전망(자본시장 Perspective, 2012 Vol.4, No. 1) 
임원 연봉 '개별공시'의 필요성과 실효성(자본시장 Weekly, 2012-03호) 
증권산업 환경변화와 국내 중소형 증권회사의 성장전략(자본시장 Weekly, 2011-36호) 
운영리스크(Operational Risk) 관리에 대한 재조명(자본시장 Weekly, 2011-18호) 
노무라의 변모: 리먼 인수 후 2년(자본시장 Perspective, Vol. 3, No. 1) 

[세미나 발표]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Overseas Entry of Korean Securities Firms(2016, KCMI-KAFA_SKK GSB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우리나라 M&A의 유형 및 산업별, 규모별 특성과 현황(2016, 한국재무학회 추계 정책심포지엄)
How to transform financial behavior from savings to investing (2015, International Seminar on Financial Literacy, 인도네시아 금융감독국) 
국내 금융산업 환경변호와 금융투자회사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제(2015, 위기의 한국 금융, 해법은 무엇인가(II): 증권업과 보험업을 중심으로, 한국금융학회) 
Market Practices and Consumer Protection(2014, APEC Financial Regulators Training Initiative, ADB) 
Policies for Financial Inclusiveness in Korea(2014, APEC Financial Regulators Training Initiative, ADB) 
How to Develop an Investor Education Framework: Case of Korea(2013, APEC Financial Regulators Training Initiative, ADB) 
Capital Market Outlook and Future Investment Opportunities(2014, Investment Opportunities in Growth and Emerging Markets, 금융투자협회) 
Promoting Savings for Retirement(2014, High-Level Symposium on Financial Education: Promoting Long-term Savings and Investments, OECD) 
일본 금융투자업의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한국의 시각(2012, 저성장-저금리 시대와 금융투자산업: 일본 사례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KMCI-노무라 공동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