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 이동합니다.
자본시장포커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련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최신 동향을 제공하는 격주간지

focus
자본시장포커스 발간일 2025.04.28

OPINION

고령가구 소득구조와 자산보유 : 문제점과 과제 [선임연구위원] 김재칠 최근 십여년간 우리나라 고령가구의 소득은 평균적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이들은 고연령대로 접어들어도 근로시장에 머물러 있는 등 소득구조의 안정화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른 여러나라에서도 발견되는 바와 같이 평생동안의 저축이 거주용 주택자산으로 집중된 결과,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금융자산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고령자들은 경제적, 심리적 동기로 인해 보유주택 지분을 줄이는 것을 기피하며, 주택지분의 활용 방법에 대해서도 개인별 성향의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진다. 따라서 주택연금제도 이외에 고령자 보유주택 지분의 현금화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기도입 제도의 편익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홍보가 절실하다.... 스튜어드십 코드의 현황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한 과제 [연구위원] 황현영 자본시장 선진화와 밸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튜어드십 코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2025년 업무계획에서 스튜어드십 코드 운영 개선을 통해 적극적 주주권리 행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2016년에 제정된 스튜어드십 코드의 운영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스튜어드십 코드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에 제정된 스튜어드십 코드가 약 10년간 운영되면서, 참여기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5년 4월 현재 242개의 기관투자자, 자문사 등이 코드에 가입하였다. 또한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이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의결권 행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코드 도입기관의 실...
모아보기

ZOOM-IN

최근 국내외 PE의 카브아웃(carve-out) M&A 거래 증가와 전망 [선임연구원] 안유미 □ 최근 글로벌 PE 시장에서 카브아웃 M&A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
□ 경기 둔화로 기업들이 비핵심 자산의 매각을 통해 핵심 사업에 집중하는 전략과 PE의 저평가된 사업 인수를 통한 수익 창출 기회를 모색하는 움직임이 맞물리며 카브아웃 거래가 촉진
□ 또한 풍부한 PE 미집행약정액, 증가하고 있는 PE 운용사 및 투자 대상 기업의 풀 감소에 따른 PE 간 경쟁 심화 등으로 다양한 유형의 거래가 증가하고 있는 시장환경 변화도 작용
□ 그리하여 일본, 유럽 기업들이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사업구조 재편에 나서자 글로벌 주요 PE는 이를 수익 창출 기회로 활용하며 2024년 대형 카브아웃 거래를 주도
□ 국내 PE의 카브아...
주식시장 결제주기 단축에 대한 글로벌 동향 [연구원] 최지운 □ 2024년 5월 미국의 주식시장 결제주기 단축(T+1)에 맞춰 주요국들의 추진 및 논의가 활발해졌으며 주된 전환 요인은 시장 변동성 대응, 경쟁력 제고, 글로벌 시장 정합성 제고임
□ 미국 시장과의 연계가 뚜렷한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 국가들은 미국과 동시에 결제주기를 단축하였으며 미국보다 하루 먼저 시행하여 안정적으로 전환
□ 영국, 스위스, 유럽연합 등의 유럽은 각자의 시장 경쟁력 제고 등을 이유로 논의가 이루어져왔으며, 유럽 시장 정합성 및 불필요한 비용 감소를 위해 2027년 10월 동시 전환을 목표로 함
□ 일본, 호주 등 아시아 지역은 아직 구체적인 전환 목표는 없는 초기 단계이나 인도의 경우 단계별 전환을 통해 미국보다도 먼저 ...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