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학력
2007 ~ 2011 KAIST Business School Seoul, Korea Ph.D. in Management Engineering (Finance concentration)
2005 ~ 2007 KAIST Business School Seoul, Korea M.S. in Management Engineering (Finance concentration)
2003 ~ 2005 Seoul Natioanl University Seoul, Korea M.A. in Economics (Macroeconomics concentration)
1998 ~ 2003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B.A. in German Language Education and Economics
경력
2011~ Research Fellow, Korea Capital Market Institute
2009 ~ 2010 Lecturer, Kyung Hee University

보고서

오피니언

일본의 최선집행원칙(Best Execution Policy) 개정과 시사점 / 2022. 11. 21
올해 국내 거래시장에 첫 다자간매매체결회사(ATS) 설립을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이다. ATS가 등장하면 거래시장이 혁신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ATS가 시장에 등장하는 것만으로 경쟁이 촉진되고 시장 효율성이 제고되는 것은 아니다.앞서 ATS에 해당하는 PTS를 도입했던 일본의 경우 PTS가 설립된 이후에도 20년 이상 PTS를 통한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5% 공개매수 의무 준수, 경쟁매매 금지, 신용거래 제한 등 PTS에 차별적인 규정이 대체거래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지만, 더 큰 문제는 증권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최선주문집행 기준이 관행적으로 거래소를 통한 거래에 집중하도록 수립되었다는 데에 있었다. 올해 일본 FSA는 거래시장 간 충분한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집행원칙을 개정하였고 2023년 1월 시행될 예정이다.이러한 일본의 사례는 ATS 등장을 앞두고 있는 국내 거래시장에 시사점을 갖는다. 시장분할에 대비하여 각 증권사가 마련할 최선집행원칙은 ATS의 시장점유율과 거래시장간 경쟁 활성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거래시장간 공정하고 효율적인 경쟁을 통해 서비스가 개선되고 시장참여자에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집행원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국내 상장기업의 자기주식 처분 실태 / 2022. 06. 13
지난 2020년 초 코로나19의 발발로 주가가 급락하면서 기업들의 자기주식 취득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후 주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면서 취득은 감소한 한편 자기주식 처분 공시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자기주식 취득은 대부분 주가안정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이루어지지만, 취득된 자기주식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자기주식 처분 공시 중 약 2/3는 임직원 성과보상을 위해 자기주식을 처분한다고 밝혔으며 약 1/4은 고평가된 주식을 처분하여 기업의 여유자금을 확보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자기주식의 다양한 활용은 법에서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어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주주환원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보기 어렵다. 운영자금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기주식 처분은 대부분 시간 외 대량매매로 이루어져 처분과 함께 시장에 즉각적으로 재유통된다. 직원 성과보상을 위해 지급된 자기주식을 임직원이 시장에 매도하면 일반주주를 위한 환원 효과는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전략적 제휴나 기업 합병 과정에서 자기주식이 경영진이나 지배주주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될 경우 소수주주의 이익이 침해될 우려가 있다.국내시장에서 자기주식 취득과 함께 처분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재무적 관점에서의 연구와 법제적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관련 규정을 체계적이고 정합성 있게 검토하여 미비점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 노력이 필요하다.
자사주 취득 방법과 주주가치 제고 효과에 대한 소고 / 2020. 09. 14
코로나 위기가 확산되어 주가가 급등락하고 자사주 매입 한도가 한시적으로 완화되면서 자사주 취득 기업이 크게 증가하였다.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목적의 자사주 취득 결정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호재로 인식된다. 그러나 모든 자사주 취득이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우선 기업이 취득한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시장에 처분할 경우 일시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데 그칠 수 있으므로, 자사주 취득 후 처리 방법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동일한 조건의 공시라 할지라도 제도적 특성으로 인해 실제 이행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기업이 자사주를 직접 매수하는 방식과 달리 신탁계약을 통한 간접취득은 사실상 취득기한에 제한이 없고 공시한 신탁금액을 전액 취득하지 않아도 되며 취득한 자사주를 계약기간 내에 매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질적인 자사주 취득 여부나 취득기간이 불확실하고 주가 부양효과가 투자자의 기대와 상이할 가능성이 높다.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주가가 급락하는 상황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이번 자사주 취득 결정은 장기적인 주주가치 제고보다는 단기적 시세차익 등의 목적으로 일시적인 활용에 그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투자자는 자사주 취득 제도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사주 취득 과정과 취득 후 처리 방법, 실제 체결 현황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하며 이를 바탕으로 주주가치 제고 효과를 평가해야 한다. 또한 기업의 자사주 취득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되도록 자사주 취득 관련 제도 및 공시 개선방안에 대한 지속적 논의가 요구된다.
거래소 특례상장 증가와 투자자 보호 방안 / 2020. 03. 03
최근 특례상장을 통한 혁신기업의 거래소시장 진입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 사이 총 72개의 기업이 상장하며 실질적으로 상장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례상장은 기술력과 성장성이 뛰어난 유망기업이 거래소시장에 진출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나, 투자자 보호 관점에서 우려도 존재한다. 감독당국과 거래소는 신성장 산업의 시장건전성을 제고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업 공시를 강화하고 회계투명성을 높이는 등 제도적 보완을 위해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 다변화된 상장경로를 통해 거래소시장에 진출하는 특례상장 기업이 더욱 증가하면서, 산업 및 기업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와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높아질 것이다. 투자자들의 활발한 참여와 혁신기업의 성장이 조화를 이루며 발전해 나갈 수 있기 위해 투자자, 증권사, 거래소, 감독기구의 유연한 대처와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PUBLICATIONS] 
1. Information Content of Adjusted Implied Volatility in the KOSPI 200 Index Options Market (with Byung Jin Kang and Sun-Joong Yoon), 2009. Korean Journal of Futures and Options, 17 (4), 75-103. 

[WORKING PAPERS] 
1. Who is the Best Contributor to Recovery of Market Efficiency in the Korean Stock Market? (with Jangkoo Kang) 
Presented at the Eurasia Business and Economics Society Conference, 2010 
2. Does Trading Volume matter to Price Discovery? (with Jangkoo Kang and Robert I. Webb) 
Presented at the Korean Finance Association Joint Conference, 2011 
3. The Information Content of Treasury Auctions for Treasury Futures Prices (with Jangkoo Kang and Robert I. Webb) 
4. The effect of Order imbalances on Individual Stock returns of KOSPI200 (with Hokyung Park and Jangkoo Kang) 
Presented at the Korean Finance Association Joint Converence, 2010 
5. ITMs versus OTMs (with Sun-joong Yoon) 
Presented at the Asia-Pacific Association of Derivatives Meetings, 2010 
6. Common and Local Factors in Volatility Risks: Evidence from S&P 500 and KOSPI 200 Index Options (with Sun-Joong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