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전화
02-3771-0622
이메일
mkkim@kcmi.re.kr
학력
KAIST 경영대학 경영공학(재무) 박사, 2019.01
KAIST 수리과학 학사, 2013.02
경력
2019.03 ~ 현재,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2018.03 ~ 2018.08, 한성대학교 강사

보고서

오피니언

국내 액티브 ETF의 활성화 가능성 및 향후 과제 / 2023. 02. 20
벤치마크 지수 대비 알파(alpha)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된 액티브 ETF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국내 상장된 액티브 ETF의 상품 수는 지난 해 100개를 돌파했고 다양한 유형의 액티브 상품도 등장하고 있다. 다만 자산 규모 측면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액티브 ETF의 활성화를 예단하기는 어렵다.벤치마크 지수가 점점 다양해지면서 패시브 및 액티브 상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점은 액티브 ETF 활성화에 제약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패시브 상품 대비 액티브 ETF만의 장점이 줄어드는 만큼 액티브 ETF 활성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투자 성과로 볼 수 있다. 최근까지 국내 상장된 액티브 ETF의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알파가 나타나는 점은 긍정적이라 평가된다.향후 더욱 다양한 액티브 ETF가 출시되고 공모펀드 시장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현행 운용 규제를 개선하여 운용 자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ETF 투명성 감소에 따른 이슈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도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장기적으로 일반 투자자가 다양한 ETF를 이해하고 비교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투자자들도 액티브 ETF의 단기 성과가 아닌 장기 성과에 주목해야 한다.
다이렉트 인덱싱과 패시브 투자의 개인화 / 2022. 08. 22
패시브 투자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고 있는 다이렉트 인덱싱은 패시브 투자의 개인화를 주도하고 있다. 투자자는 다이렉트 인덱싱 기술을 통해 자신만의 맞춤형 지수를 만들어 투자할 수 있고 패시브 투자의 장점을 누릴 수 있으며, 해외에서는 절세 전략 및 ESG 투자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다이렉트 인덱싱은 ETF 시장의 경직성과 상품간 유동성 격차 등 ETF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중장기적으로 개인투자자의 투자행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패시브 투자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이러한 변화 가운데 해외의 주요 금융투자사는 다이렉트 인덱싱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각자만의 다이렉트 인덱싱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ETF 시장의 성장과 직접투자의 대중화 속에서 향후 세제 개편과 소수점 거래 서비스로 인해 다이렉트 인덱싱의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이렉트 인덱싱과 관련된 역량을 구축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테마형 ETF의 성장과 위험요인 / 2022. 03. 21
ETF 10조달러 시대를 맞아 공모펀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ETF는 최근 테마형 ETF를 필두로 시장의 외연 확대와 다양화를 꾀하고 있다. 2021년에 국내 신규 상장된 주가지수 ETF 중 테마형 상품은 77%라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주식형 ETF 내 운용자산 및 거래대금 비중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테마형 ETF는 상품 차별화 경쟁 속에서 등장한 틈새 상품으로 투자자의 수요를 적시에 소화하고 투자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면이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당대 유행하는 테마를 좇아 상품을 출시할 경우, 상장 당시 ETF에 편입된 종목은 시장의 관심을 과도하게 받아 결과적으로 고평가될 위험이 존재한다. 실제 국내 테마형 ETF의 상장 이후 수익률은 벤치마크 대비 저조한 반면, 상장 전 테마형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의 수익률은 벤치마크 대비 높게 나타나 예상과 부합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ETF 투자자는 이러한 테마형 ETF의 위험요소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향후 ETF 상품 공급자는 간접투자상품으로서 ETF의 장기적인 성과와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국내 장외주식시장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 2021. 09. 06
직접투자 열풍, IPO 활황으로 정규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장외주식시장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장외주식거래는 법적 테두리 밖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으로 추정되고, 시장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조직화된 장외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장외주식시장의 활성화는 중장기적으로 모험자본의 선순환, 부실상장기업의 신속한 퇴출, 공모시장의 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어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단기적으로 사설중개업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정보의 접근성이 높은 비상장주식의 경우 제도권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비상장주식의 적법한 유통을 제한하는 규제를 개선하여, 중장기적으로 혁신적인 장외거래 플랫폼의 출현을 장려해야 한다. 또한 시장 양성화를 위해 비상장주식 관련 세제를 보완하고, 중소ㆍ벤처기업 및 장기투자에 대한 세제혜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장 활성화 이후 대두될 수 있는 투자자 보호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된 규제체계를 꼼꼼하게 정비해야 한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ETF 자산편입 규모 증대가 주식 현물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1, 한국거래소
「해외 주요시장의 주문체계 현황 및 국내 도입방안 연구용역」, 2022.10, 한국거래소 (남길남, 강소현, 이인형과 공저)
「2022년 국세수입 전망을 위한 자본시장 전망」, 2022.02,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장근혁, 강현주, 정화영과 공저)
「해외 모펀드 사례 분석에 기반한 모태펀드 발전 방향」, 2022.02, 한국벤처투자 (박용린, 남재우와 공저)
「K-OTC 등 비상장주식시장 활성화 용역」, 2021.10, 금융투자협회 (김갑래, 김준석, 최승재와 공저)
「2021년 국세수입 전망을 위한 자본시장 전망」, 2021.04, 한국조세재정연구원 (강현주, 백인석, 장근혁과 공저)
「국제정합성 제고를 위한 국채선물 최종결제가격의 산출방식 개선방안」, 2020.10, 한국거래소 (이효섭, 백인석과 공저)
「해외 혁신적 금융서비스 사례 및 시사점」, 2020.10,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성복과 공저)
「시장조성제도 운영성과 분석 및 시장조성자 역량 강화방안 제안」, 2020.09, 한국거래소
「2020년 경제 및 국세수입 전망」, 2020.0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강현주, 백인석, 장근혁과 공저)
「파생상품•ETP 상장체계 개선방안」, 2019.12, 금융투자협회 (이효섭, 장근혁과 공저)
「국민연금기금 경영참여 주주권행사 등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2019.10, 국민연금 (박창균, 남재우, 박혜진, 황세운과 공저)

 

기타활동

학술연구
[학술지 게재]
- Twitter-Based Chinese Economy Policy Uncertainty (with K. Lee & E. Choi), Forthcoming, Finance Research Letters.
- V-shaped Disposition Effect, Stock Prices, and Post-Earnings-Announcement Drift: Evidence from Korea  (with T. Kim & T.S. Kim), Forthcoming, Journal of Behavioral Finance.
- Which Uncertainty Measures Matter for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with K. Lee & Y. Jeon), 2022. Finance Research Letters, 46(B), 102390.
- Investor Sentiment and Bond Risk Premia: Evidence from China (with K. Lee), 2019. Emerging Markets Finance and Trade, 55(4), 915-933. 
- Do Hedge Funds Time Market Tail Risk? Evidence from Option-implied Tail Risk (with J.S. Shin, D. Oh, & T.S. Kim), 2019. Journal of Futures Markets, 39(2), 205-237. 

- 중국 경제 불확실성 측정과 중화권 주식 시장 변동성에 대한 예측력 (이기영 공저), 2018.금융지식연구16(3), 55-83. 
-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수익성 프리미엄 발생 요인 분석 (정진수, 김동석 공저), 2018.재무관리연구35(4), 69-108. 

[워킹 페이퍼]
- Re-Interpreting the Profitability Premium 
- Resurrecting Lottery-related Anomalies 
- Why Does Trading Volume Predict Stock Returns? Evidence from a Decomposition Approach 


수상내역
- 금융위원회위원장 표창, 2022
- Best Research Report, 자본시장연구원, 2020, 2021
- 우수논문상, 재무금융 관련 5개 공동 학술대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