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학력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 석·박사 (2019)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사 (2014)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2019. 9. ~ 현재)
한국ESG기준원 ESG전문가 자문위원단 자문위원 (2023. 4. ~ 현재)
금융위원회 금융규제혁신회의 자본시장분과 위원 (2022. 9. ~ 현재)
한국회계정책학회 이사 (2021. 1. ~ 현재)
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원 연구위원 (2019. 3. ~ 2019. 8.)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강사 (2017. 9. ~ 2020. 2.)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강사 (2019. 3. ~ 2019. 8.)
세종대학교 MBA 강사 (2018. 9. ~ 2019. 2.)

보고서

오피니언

재무적 중요성 기반 ESG 공시의 유용성 / 2023. 02. 06
최근 에너지 가격 급등을 비롯한 고물가ㆍ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을 중심으로 규범적 ESG 활동을 반대하는 Anti-ESG 기조가 확산하고 있다. 향후 기업의 ESG 전략이 더욱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 역시 세부 사안별로 이해관계자 간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재무성과와의 관련성이 명확한 ESG 활동만이 기업의 미래 주가수익률을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장기적으로 재무성과를 견인하지 못하는 ESG 활동은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지향해온 현행의 법체계 하에서 제도적으로 억제됨은 물론 핵심 이해관계자의 일관된 지지를 받기 어려우므로, 기업들은 재무적으로 중요한 ESG 활동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2025년부터 단계적 의무화가 예정되어 있는 ESG 정보의 공시제도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 및 기회 요인을 중심으로 식별ㆍ보고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ESG 성과의 개선과 공시가 지속가능한 자금조달의 원천이 되는 선순환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주식 거래정지 장기화와 투자자 보호 관점의 전환 필요성 / 2022. 08. 08
최근 주식시장에서 거래정지의 장기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개정 외부감사법 시행으로 감사환경이 강화되면서 거래정지 조치가 확대된 부분은 재무제표의 왜곡표시로 인한 투자자 피해를 예방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대부분의 거래정지 조치에서 원인 사유의 해소 이후 매매거래를 재개함에 따라 거래정지 상태가 장기화되고 재산권 침해, 변동성 확대 등의 우려가 증대되는 점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 시장의 경우 중요 정보의 충실한 공시가 이루어지는 즉시 거래정지 조치의 해제를 원칙으로 하여 장기간 매매거래가 중단되는 사례는 발생하지 않는다. 주식을 자유롭게 처분하는 측면에서 주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거래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거래재개 절차의 개선 검토가 가능하다. 장기적으로 거래정지 제도는 정보비대칭 상황에서 새로운 정보의 공시를 유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원인 사유의 해소를 전제로 하는 장기 중단의 정지가 아니라, 사유 발생의 공시를 전제로 하는 일시 멈춤의 정지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상장사 대규모 횡령 사태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시사점 / 2022. 02. 07
코스닥 상장사의 대규모 횡령 사태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2016년도부터 2021년까지 주권상장법인을 대상으로 횡령ㆍ배임 사건의 발생 빈도를 전수 조사한 결과 2019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감사는 횡령ㆍ배임 사건을 예방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경영진의 확고한 의지 없이는 이와 같은 대규모 횡령 사태의 재발을 막기 어렵다는 점에서 관련 제도의 보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첫째, 중요성 금액 기준을 초과하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 대해서는 중간재무제표의 검토 과정에서 계정잔액의 입증가능 여부에 대해 보다 엄격한 검토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횡령ㆍ배임죄의 형량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여 위반 동기를 원천적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경영진과 이사회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충실한 설계와 운영을 입증하는 경우 인적ㆍ금전적 제재를 경감하는 조항을 명문화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실효적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내부고발 유인을 확대하여 대규모 부정 사태의 예방과 조기 적발 유인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ESG 기업공시 개선방안 / 2021. 08. 23
기후변화 대응, 책임투자 확산으로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기준제정기구별 보고기준이 상이하여 기업의 정보생산 부담은 가중되는 반면 정보의 비교가능성ㆍ신뢰성은 낮아, ESG 기업공시를 ‘어떻게’ 개선할지를 중심으로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상장기업에 대해서는 재무적 위험성과 직결되는 중요 ESG 정보를 사업보고서 내 의무적으로 기재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공시정보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장기적으로는 이에 대한 인증절차 역시 도입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 ESG 관련 정보의 공시체계를 재정비하고, 공시채널을 일원화하여 ESG 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 내부회계관리제도 실효성 강화 방안 (이석훈·황현영·정태진 공저: 한국공인회계사회, 2023, 연구책임자)
- ESG 공시체계 선진화를 위한 연구용역 (이인형·심준용 공저: 한국거래소, 2023, 연구책임자)
- 사회적채권 가이드라인 제작 (최순영·김필규·김한수 공저: 기획재정부, 2022)
- ESG 평가체계 개선방안 (이인형 공저: 금융위원회, 2021)
- 자본시장 시스템리스크 분석 및 예금보험공사의 역할 제고 방안 (이효섭·장근혁 공저: 예금보험공사, 2021)
- 해외 주요거래소의 퇴출제도 조사분석 (김준석 공저: 한국거래소, 2021, 연구책임자)
- ESG 투자 활성화를 위한 공시, 평가 등 내실화 방안 (이인형 공저: 국민경제자문회의, 2021)
- 감사인 지정제 개선방안 (유용근·조성훈 공저: 금융위원회, 2020, 연구책임자)
- 코스닥 우회상장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황세운·김한수 공저: 한국거래소, 2020)

기타활동

학술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Do Competent Managers Hoard Bad News? Self-regulation Theory and Korean Evidence (with Ji Yeon Ryu, and Sejoong Lee: Finance Research Letters (SSCI), 41: 101836, 2021)
- Do Audit Efforts Increase the Future Equity Value of Client Firm? (with Seung Uk Choi, and Ji Yeon Ryu: Managerial Auditing Journal (SSCI), 36(1): 132~166, 2021)

- Corporate Tax Avoidance and the Cost of Equity Capital: International Evidence (with Hong Min Chun, Grace Il Joo Kang, and Yong Keun Yoo: Applied Economics (SSCI), 52(29): 3123~3137, 2020)
-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the Cost of Debt Capital: International Evidence (with Ji Hye Kim, and Yong Keun Yoo: Asia-Pacific Journal of Accounting & Economics (SSCI), 27(2): 151~172, 2020)


[국내학술지 게재]
- ESG 중요성 공시의 유용성 (선우희연·이우종·이인형 공저: 회계학연구, 47(6): 59~86, 2022, 교신저자)
- ESG 정보의 공시유인: 자발적인가, 정당화인가? (심재연·유지연 공저: 회계와정책연구, 27(1): 249~274, 2022, 제1저자)
- 저금리·고차입 한계기업이 정상기업의 생산활동에 미치는 영향: 외부감사대상 기업을 중심으로 (유지연 공저: 회계와정책연구, 26(2): 125~156, 2021, 제1저자)
- 코로나19 확산의 수요충격에 대비한 상장기업 현금소진위험 설명변수와 상장폐지 예측에 관한 실증연구 (허광복·김태동 공저: 회계와정책연구, 25(4): 145~170, 2020, 제1저자)
- 노동조합이 제조기업의 노무 행태에 미치는 영향 (김진배 공저: 관리회계연구, 19(2): 1~26, 2019, 1저자)
- Audit Opinions and Legal Environments: International Evidence (유용근·유지연 공저: 회계와정책연구, 24(2): 1~24, 2019, 공동저자)

- 재무제표 비교가능성과 기업 불성실공시의 관계에 대한 연구 (문보영·유지연 공저: 세무와회계저널, 19(4): 171~214, 2018, 1저자)
- 이익적시성과 시장이상현상 (유지연·최승욱 공저: 경영학연구, 47(4): 753~781, 2018, 공동저자)
- 비정상감사보수의 시장이상현상에 관한 연구: 투자자들은 비정상감사보수를 인지하고 있는가? (최승욱 공저: 회계저널, 27(1):1~37, 2018, 1저자)
- 세제분야 정부 정책성과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만우·심준용 공저: 세무와회계저널, 18(6): 285~309, 2017, 교신저자)
- 세부 계정과목별 고유위험과 감사보수, 감사시간 및 시간당 감사보수와의 관련성 연구 (정석우·정남철 공저: 회계·세무와감사연구, 59(3): 77~122, 2017, 공동저자)

- 회계 보수성이 미래 주가폭락위험에 미치는 영향 (최승욱 공저: 경영학연구, 46(2): 561~594, 2017, 1저자)
- 실물이익조정이 차기 주가폭락위험에 미치는 영향 (이창섭·추재연 공저: 경영학연구, 46(1): 287~313, 2017, 1저자)


[진행중인 연구]
- Internet Penetration and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International Evidence (with Tony Kang, Ji Yeon Ryu, and Yong Keun Yoo)


수상내역
- 2023 이사장 표창, 한국거래소, ESG 정보공개 활성화를 통한 증권시장 발전
- 2021 Best Research Report, 자본시장연구원, ESG 정보 유용성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
- 2020 Best Research Report, 자본시장연구원, 코로나19 확산의 수요충격에 대비한 상장기업 현금소진위험 스트레스 테스트
- 2020 딜로이트학술상, 한국회계학회 ·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Internet Penetration and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International Evidence
- 2018 Distinguished Research Award, 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원,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the Cost of Debt Capital: International Evidence
- 2017 최우수 논문상,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한국공인회계사회세부 계정과목별 고유위험과 감사보수, 감사시간 및 시간당 감사보수와의 관련성 연구
- 석탑강의상, 고려대학교, 2019-2(*2), 2019-1, 2018-2
- 우수강의상, 고려대학교, 2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