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전화
02-3771-0822
이메일
bjang@kcmi.re.kr
학력
2001년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전공: 경제학, 경영학)
2009년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경제학 석사
2013년 The Ohio State University 경제학 석사
2017년 The Ohio Stat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2021.4~
한국은행 과장, 2005.1~2021.4 (경제통계국, 조사국, 통화정책국, 정책보좌관)
한국금융공학컨설팅, 2001.7~2004.8 (프로그래머, 컨설턴트)

보고서

오피니언

3월 미국의 금융불안, 그 이후 / 2023. 05. 15
3월 발생한 미국 내 중소은행들의 파산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위기감이 높아진 바 있다. 실증분석에 따르면, 미국발 금융불안 충격 발생시 국내에서는 주가가 하락하고, 회사채ㆍ국채금리 및 CPㆍ콜금리 간 스프레드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금리 스프레드들은 6개월 가까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부정적인 영향이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행히 3월 금융불안은 충격의 강도가 크지 않았고, 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으면서 그 여파도 점차 가라앉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연준이 당분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은행권에 다수의 리스크 요인이 잠재해 있어, 앞으로도 크고 작은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미국발 금융불안이 국내 금융불안을 촉발하지 않도록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지켜 보아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국내 물가상황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 기조의 변화를 논의하기에는 아직 이르지만, 금융안정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필요 영역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분리 대응 방식으로 신속하게 혼란의 확산을 차단해야 할 것이다.
스테이블 코인의 역설: 리스크와 정책 과제 / 2022. 11. 21
스테이블 코인은 그 명칭과는 달리, 간과할 수 없는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 스테이블 코인의 주종인 법화자산 담보형의 경우, 발행사의 준비자산 부실 운영이 취약점으로 작용하면서 대량 환매나 투기적인 공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비트코인 등 비스테이블 코인의 가격 급락 시 스테이블 코인 시장 전반의 심각한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 아울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의 불안이 전체 가상자산 및 전통적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위험, 스테이블 코인 공급이 통화정책과의 상충을 유발할 가능성 등도 존재한다.국내에서 가상자산과 관련된 정책적인 논의는 주로 비스테이블 코인에 집중되어 제도적인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향후 국내 스테이블 코인 시장이 급성장할 수 있으므로 제도 마련에 속도를 내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정책 설계에서는 여타 유형보다는 법화자산 담보형 위주로 발행을 유도하도록 기본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별 스테이블 코인의 사용 범위에 따라 제도적인 안전장치를 차등 적용함으로써 규제의 기술적 중립성과 금융안정 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예금보험 미적용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는 현행 선불전자지급수단에 대한 감독 지침 등을 참고하여 지급 보장 기능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통화정책과의 상충을 방지하기 위해 대형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를 대상으로 건전성 규제를 강화하거나 발행 총량을 관리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미 연준의 긴축과 국내 금리: 영향과 시사점 / 2022. 06. 27
미 연준의 연이은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연준이 상당히 강도 높게 금리를 인상하면서 긴축 충격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증 분석에 따르면, 연준의 금리 인상 충격은 국내 시장 금리를 광범위하게 상승시키면서 자금조달 여건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 결과, 연준의 금리 인상 충격은 장기 구간을 중심으로 국고채 금리를 높이고 여타 시중 금리에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회사채 금리가 상승하고 은행의 조달비용이 증가하면서 가계 및 기업대출 금리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연준발 충격 여파가 국내 금융비용 부담을 가중시키는 가운데 정책 당국이 물가와 금융 상황을 놓고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물가안정은 국내에서도 시급한 현안이므로, 한국은행은 이에 방점을 두고 현재의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연준의 긴축 충격으로 과도한 시장 불안이 지속된다면 시장 안정화 수단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 글로벌 물가 여건과 리스크 / 2021. 12. 06
수요 증가와 공급병목 현상이 맞물리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확산되고 있다. 금년 들어 글로벌 공급병목 현상이 심화되면서 국제원자재 가격과 물류 비용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이러한 요인은 국내외 물가 상승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공급병목 문제가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렵겠지만 생산 및 물류 여건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단기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이 여전히 높다는 점은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각국의 생산 능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부정적 공급 충격 발생 시 생산 확대와 적시 공급을 통해 이를 완충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한편, 위험도가 높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가 발생하여 경기가 둔화된다면,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변이에 대한 대응체계가 정비된 이후 회복 국면에서는 공급병목 현상이 심화되면서 높은 물가 상승률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세미나 발표자료

기타활동

학술연구 • Durable Consumption-Based Asset Pricing Model with Foreign Factors for the Korean Stock Market (with C-K. Cho), International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2023, 11(2):62.
• Stock Returns and Monetary Policy Stance (with I. So), working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