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의 종간된 발간물 자료를 소개합니다

KRX 호가단위의 적절성
2008-16호 1970.01.01
요약
호가단위(tick size)는 자산 가격이 변동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호가단위의 크기는 시장참여자들의 암묵적 합의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우리가 접하는 많은 자산 가격이 인위적인 규정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특정한 수준의 단위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증권거래소에서는 매매방식의 표준화와 거래의 효율성에 대한 고려에 의해 거래되는 증권에 대해 공식적인 호가단위를 규정하여 적용한다. 각 거래소마다 증권의 가격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호가단위를 적용하기도 하고 가격 수준과 상관없이 동일한 호가단위를 적용하기도 한다. 현재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의 경우 주가가 5000원 미만일 경우 5원, 5000원 이상 10000원 미만일 경우 10원, 10000원 이상 50000원 미만일 경우 50원, 50000원 이상 100000원 미만일 경우 100원, 100000원 이상 500000원 미만일 경우 500원이며 500000원 이상에 대해서는 1000원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규정에 따라 주식 가격은 가격 수준에 따라 다른 단위로 변동하게 된다.
호가단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장의 질(market quality)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의 호가단위를 결정하는 것은 시장미시구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대부분의 증권거래소에서는 매매방식의 표준화와 거래의 효율성에 대한 고려에 의해 거래되는 증권에 대해 공식적인 호가단위를 규정하여 적용한다. 각 거래소마다 증권의 가격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호가단위를 적용하기도 하고 가격 수준과 상관없이 동일한 호가단위를 적용하기도 한다. 현재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의 경우 주가가 5000원 미만일 경우 5원, 5000원 이상 10000원 미만일 경우 10원, 10000원 이상 50000원 미만일 경우 50원, 50000원 이상 100000원 미만일 경우 100원, 100000원 이상 500000원 미만일 경우 500원이며 500000원 이상에 대해서는 1000원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규정에 따라 주식 가격은 가격 수준에 따라 다른 단위로 변동하게 된다.
호가단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장의 질(market quality)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의 호가단위를 결정하는 것은 시장미시구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