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 이동합니다.
세미나
세미나
정책심포지엄 지속 가능한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위한 정책 과제 여의도 금투센터 3층 불스홀
  • 일시 :2025년 11월 21일 (금), 14:30~17:00
  • 주최 :자본시장연구원, 한국파생상품학회
  • 후원 :하나금융지주

기업 밸류업은 최근 몇 년간 한국 주식시장에서 가장 큰 화두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여 왔습니다. 현재 기업 밸류업에 대하여 많은 학술적,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지는 한편, 기업 밸류업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목적은 선순환적 자본시장의 구축을 통해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과 일반 투자자들의 기업 성과 공유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한국 주식시장의 거침없는 상승세는 이제 드디어 이른 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되고 밸류업의 시대가 오는가 하는 기대감을 가지게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직 낙관하기에는 이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어 온 주주환원 미흡, 지배구조 취약, 회계처리의 불투명 등의 사항들에 있어서 그 동안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아직도 개선해야 할 부분들이 적지 않게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한국파생상품학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지속 가능한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위한 정책 과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이 심포지엄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고찰, 대만 주식시장에서의 밸류업 경험과 그 시사점, 그리고 한국 주식시장에서 필요한 정책과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논의 및 제언이 다루어질 것입니다. 또한 산업계와 학계, 그리고 금융당국의 전문가들의 패널 토론을 통하여 기업 밸류업을 위한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모색될 것입니다.

기업 밸류업은 실물 경제와 금융 시장의 발전을 위하여 우리가 반드시 추구하고 달성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본 공동 심포지엄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더 나아가 지속 가능한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며 이러한 논의의 장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그리고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프로그램

사회 : 오지열 (성균관대학교 교수)
  • 14:30 ~ 14:40
    개 회 사
    김누리 (한국파생상품학회 회장)
  • 14:40 ~ 14:50
    인 사 말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 
주제발표
  • 14:50 ~ 15:15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구조적 요인: 주식시장 할인율 국제 비교
    김민기 ‧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15:15 ~ 15:40
    대만의 기업가치 제고(value-up) 정책과 시사점
    왕수봉 (아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15:40 ~ 16:05
    주주권 강화를 통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황현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16:05 ~ 16:15
    휴   식
패널토론
  • 16:15 ~ 17:00
    [좌장]
    ㆍ이준서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토론]
    ㆍ강소현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
    ㆍ고영호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ㆍ이지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ㆍ천성대 (금융투자협회 상무)
    ㆍ황승택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전무)                    (가나다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