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련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최신 동향을 제공하는 격주간지
OPINION
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와 기금운용체계 개편
[연구위원] 남재우
국민연금 1,000조원 시대가 도래할 전망이다. 현행 기금운용체계는 운용규모 160조원 수준에 국내채권 중심의 단순한 자산구성이었던 2005년에 설계되었다. 1,000조원의 운용규모는 단순히 비례적인 양적 확대가 아니라 포트폴리오의 구성과 투자전략의 고도화라는 질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따라서 기금은 대체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자국편의(home bias)를 축소하여 분산된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장기운용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나, 전략의 집행은 더디고 목표 달성은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다. 운용 고도화에는 효율적 의사결정체계와 역량 있는 운용조직이 필수적이다. 대표자 중심의 현행 위원회 구조는 고도화된 자산운용에는 적합하지 않은 의사결정체계로 평가되며, 공단 산하 집행조직은...
다이렉트 인덱싱과 패시브 투자의 개인화
[연구위원] 김민기
패시브 투자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고 있는 다이렉트 인덱싱은 패시브 투자의 개인화를 주도하고 있다. 투자자는 다이렉트 인덱싱 기술을 통해 자신만의 맞춤형 지수를 만들어 투자할 수 있고 패시브 투자의 장점을 누릴 수 있으며, 해외에서는 절세 전략 및 ESG 투자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다이렉트 인덱싱은 ETF 시장의 경직성과 상품간 유동성 격차 등 ETF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중장기적으로 개인투자자의 투자행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패시브 투자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해외의 주요 금융투자사는 다이렉트 인덱싱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각자만의 다이렉트 인덱싱 서비스를 선보이고 ...
모아보기
이러한 변화 가운데 해외의 주요 금융투자사는 다이렉트 인덱싱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각자만의 다이렉트 인덱싱 서비스를 선보이고 ...
ZOOM-IN
글로벌 자산관리(WM)의 디지털 전환 추세 및 국내 현황
[선임연구원] 홍지연
□ 글로벌 금융사들은 미래성장이 기대되는 WM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IT 기반의 플랫폼을 통한 웰스테크 활용이 증가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 방식의 확산에 따라 금융 부문에서도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부유층, 고령층이 주요 대상이었던 WM 서비스가 소액자산가, 젊은층 등으로 대상이 확대되며 대중화
□ 해외 주요 금융사들은 WM 사업 차원에서 웰스테크 플랫폼을 출시하거나 핀테크 기업과의 인수ㆍ합병이나 제휴를 통해 웰스테크 서비스를 확대하는 추세
□ 국내 금융사들도 수익구조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국면에서 WM 서비스 강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마이데이터의 도입으로 이와 결합한 맞춤형 WM 서비... 인적자본의 가치 인식과 기업공시제도 논의 [연구원] 맹주희 □ 기업가치에 있어 무형자산의 비중이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자본시장에 제공되는 회계공시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인식하고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최근 국내외에서 무형의 인적자본(human capital)이 기업의 가치와 주가 등에 중대한(significant) 영향을 미치는 이슈가 발생
□ 전속 매니지먼트 계약의 형태로 이루어진 인적자본은 그동안 자본시장에서 인식해온 인적자원(human resource)과 다소 차이가 있기에 그 가치를 인식하는 데 더욱 어려움이 있음
□ 국내의 기업공시제도는 미국식 기업공시제도와 유사한 체계를 따르고 있으나, 수시공시에 있어서 중요정보(material information) 여부의 판단이나 공...
모아보기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 방식의 확산에 따라 금융 부문에서도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부유층, 고령층이 주요 대상이었던 WM 서비스가 소액자산가, 젊은층 등으로 대상이 확대되며 대중화
□ 해외 주요 금융사들은 WM 사업 차원에서 웰스테크 플랫폼을 출시하거나 핀테크 기업과의 인수ㆍ합병이나 제휴를 통해 웰스테크 서비스를 확대하는 추세
□ 국내 금융사들도 수익구조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국면에서 WM 서비스 강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마이데이터의 도입으로 이와 결합한 맞춤형 WM 서비... 인적자본의 가치 인식과 기업공시제도 논의 [연구원] 맹주희 □ 기업가치에 있어 무형자산의 비중이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자본시장에 제공되는 회계공시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인식하고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최근 국내외에서 무형의 인적자본(human capital)이 기업의 가치와 주가 등에 중대한(significant) 영향을 미치는 이슈가 발생
□ 전속 매니지먼트 계약의 형태로 이루어진 인적자본은 그동안 자본시장에서 인식해온 인적자원(human resource)과 다소 차이가 있기에 그 가치를 인식하는 데 더욱 어려움이 있음
□ 국내의 기업공시제도는 미국식 기업공시제도와 유사한 체계를 따르고 있으나, 수시공시에 있어서 중요정보(material information) 여부의 판단이나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