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 이동합니다.
최신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의 보고서 자료를 소개합니다.

cover
스타일투자를 활용한 맞춤형 자산관리

조사보고서 07-01 2007.12.27

  •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자산관리 서비스의 핵심은 맞춤형 간접투자 서비스의 제공이라고 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의 고유한 이해요구를 반영한 서비스를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누릴 수 있다. 한편 금융회사는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의 제공으로부터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할 수 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Robert Merton도 맞춤형 서비스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면서 밝힌, 차세대 재무이론의 핵심적 주제도 이와 근접하다. 자산관리 서비스가 국내 자본시장에서 관심을 얻게 된 것은 2000년을 전후해서이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수익성 제고를 위한 투자 상담 수요가 증가하고, 금융회사 또한 금융위기 이후 수익성 다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산관리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개인의 부 축적, 투자패러다임의 변화, 전 생애에 걸친 안정적인 소비수준 요구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공적연금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투자자가 장기적인 시각에서 표준형 간접투자와는 구별되는 맞춤형 자산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해외 선진 금융회사들은 대표적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로서 MSA(Multi-Style Account)를 널리 활용하고 있다. MSA는 스타일투자를 활용한 자산관리 서비스로 각 하위계좌가 별도의 스타일에 따라 운용되는 특징을 갖는다. MSA 서비스가 대중화되면 펀드 운용스타일의 다변화가 유도되어 간접투자 시장이 보다 성숙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펀드시장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의 다양성이 취약한 점을 고려할 때, MSA 서비스의 대중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MSA 서비스의 의의 및 MSA 국내 활용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현재와 같이 국내 대부분의 펀드들이 운용스타일을 사전에 공시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MSA 스폰서가 스스로 펀드의 스타일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MSA 스폰서가 사용할 수 있는 펀드 스타일 식별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국내 간접투자 시장에서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가 본격화되기 위한 전제조건(운용스타일에 근거한 성과보고 기준 마련, 투자구조 다변화, 비용 절감을 위한 자동화, 펀드 취급 범위 확대 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대형 금융투자회사로 거듭나려는 금융회사 및 유관기관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국내 자산관리가 고객의 다양한 이해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로 새롭게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Executive Summary ⅸ Abstract ? I. 서론 3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5 II. MSA의 개념 및 의의 9 1. MSA 개념 9 2. 스타일투자 의의 21 3. MSA의 Mass Customization 26 4. MSA 성장 가능성 30 III. 국내에서의 MSA 활용 방안 43 1. 펀드 스타일 식별 방법 44 2. 스타일분석 적용 대상 50 3. 펀드 스타일분석 결과 55 4. MSA 활용 가능성 69 IV. MSA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 73 1. 운용전략에 따른 성과공시 기준 마련 74 2. 다양한 운용전략 도입 79 3. 자동화를 통한 비용 절감 84 4. 펀드 취급 범위 확대 89 V. 결론 및 시사점 95 <참고문헌>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