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의 보고서 자료를 소개합니다.

거래소 인수ㆍ합병: 동향과 사례
조사보고서 10-04 2010.12.16
- 연구주제 자본시장
- 페이지 131 Page
최근의 거래소를 둘러싼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거래소산업에 필연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자본시장의 거대화, 효율화, 글로벌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금융IT 기술혁신에 따라 새로운 매매기법과 혁신적 IT인프라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Reg NMS, MiFID 등 미국과 유럽의 자본시장 규제 변화로 정규거래소 이외의 거래플랫폼이 시장의 지위를 얻게 됨에 따라 정규거래소와 새로운 형태의 거래플랫폼 사이의 유동성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거래소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주요거래소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통적인 상호회사 구조에서 탈피하여 주식회사화와 상장을 추진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거래소간 인수·합병을 통한 대형화, 효율화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거래소의 인수·합병은 지리적인 근접성을 바탕으로 역내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시아보다는 북미와 유럽지역에서 보다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거래소의 기능적인 측면으로 보면, 주식거래소와 주식거래소간의 수평적 인수·합병과 주식거래소와 정보·시스템 업체 간의 수직적인 통합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거래소의 인수·합병 추세는 현재진행형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자본시장 환경변화가 거래소간 통합과 연계를 통한 효율화, 대형화가 불가피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아시아시장의 경우 인수·합병보다는 그 전 단계에 해당하는 동맹·제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점차 아시아시장 거래소가 이러한 인수·합병 흐름의 중심에 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거래소간 인수·합병의 원인과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거래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주요 목적이다. 물론 거래소간 인수·합병은 불과 10년 전부터 시작되어 최근까지 진행 중이고, 우리와 환경이 비슷한 아시아권에서의 인수·합병은 아직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어서 한국거래소의 합병·제휴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거래소산업 내 증가하는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가하기 위해서는 최근의 거래소 인수·합병 흐름을 면밀히 관찰하고 교훈을 얻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된다.
Executive Summary ⅹⅱ
Abstract ⅹⅷ
I. 서론 3
1. 연구배경 3
2. 연구의 체계 5
3. 연구의 범위 6
II. 거래소 인수·합병의 동향 11
1. 거래소 인수·합병의 분류 11
2. 거래소 인수·합병의 트렌드 18
III. 거래소 인수·합병의 배경 27
1. 거래소 인수·합병에 관한 이론 27
2. 거래소 인수·합병의 배경요인 33
3. 거래소 인수·합병의 기대효과 50
IV. 주요거래소 인수·합병의 사례분석 55
1. NYSE Euronext 인수·합병 사례 56
2. LSE의 인수·합병 사례 66
3. Bursa Malaysia의 인수·합병 사례 72
4. ICE의 인수·합병 사례 77
5. Euroclear의 인수·합병 사례 82
6. SIX Swiss Exchange의 인수·합병 사례 87
7. NASDAQ OMX의 인수·합병 사례 91
8. TMX Group의 인수·합병 사례 97
9. CME Group의 인수·합병 사례 102
10. Eurex의 인수·합병 사례 108
V. 한국거래소에 대한 시사점 115
1. 한국거래소의 합병·제휴 추진 116
2. 자본시장 허브전략 117
3. 한국거래소의 상장 119
참고문헌 123
부록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