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련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최신 동향을 제공하는 격주간지
ZOOM-IN
일반 지급결제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대
[선임연구원] 김보영 / 2025-21호
□ 법정 화폐를 담보로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정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함께 시장이 급성장하였고, 이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짐
□ 스테이블코인 기반 지급결제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의 주요 카드사들은 기존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제 지급 및 정산에 활용
□ 빅테크 기업들은 일부 직접 발행 혹은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결제 인프라, 암호화폐 지갑 등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 또는 계획 중
□ 일부 유통업체들의 적극적 수용, 핀테크 업체의 스테이블코인 충전용 카드 발행 등도 일반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산에 기여
□ 또한, 기존 비은... 주요국의 권고적 주주제안 특징과 시사점 [선임연구원] 정지수 / 2025-21호 □ 국내 스튜어드십 코드 제도와 관련하여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주요국에서는 권고적 주주제안을 허용하여 기후변화ㆍ인권 등 다양한 이슈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이사회 권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주주와의 소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음
□ 반면, 국내의 경우 주주제안이 주총 승인사항에 한정되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상법 체계상 권고적 주주제안이 해석상 인정되기 어렵기 때문임
□ 이에 따라 권고적 주주제안의 국내 도입을 위해 상법ㆍ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논의하는 움직임이 최근 진행되고 있음...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의 사업부문 다각화 및 시사점 [선임연구원] 이정은 / 2025-20호 □ 최근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ingapore Stock Exchange: SGX)는 역대 최고 수익을 기록
□ SGX의 주요 사업 부문은 현물-주식, 파생상품, FICC, 플랫폼 및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며, 역내 주요 거래소와 비교했을 때, SGX의 수익은 핵심 사업 부문에만 국한되지 않고, FICC와 플랫폼 부문의 수익 비중이 큰 점이 특징
□ 각 사업 부문별로 전년 대비 FY2025의 순수익 증가 요인을 살펴보면, 주식 시장 거래와 관련된 핵심 사업 부분이 가장 크게 증가한 한편, 파생상품 및 FICC 부문도 10% 내외 수준으로 증가
□ SGX는 아시아에서 멀티자산 거래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전략을 중ㆍ... 미국 퇴직연금의 대체자산 투자 허용 확대 발표 [선임연구원] 홍지연 / 2025-20호 □ 미국 정부는 최근 퇴직연금에서 가상자산, 부동산, 사모펀드 등의 다양한 대체자산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발표
□ 이번 조치는 그동안 401(k) 및 기타 DC형 퇴직연금의 대체자산 허용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했던 상황에서 사모펀드, 부동산, 인프라 등 대체자산을 적극적으로 편입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려는 의지를 반영
□ 현재 미국의 401(k) 퇴직연금 투자는 대부분 주식 및 채권 등 전통자산에 집중되어 있으나 행정명령을 통해 소송 위험이 완화되고 제도적 안정장치의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향후 수탁자는 합리적이고 사전적인 판단 과정을 바탕으로 대체자산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국내 퇴직... 영국 금융 자문 맞춤형 지원 제도 도입 및 시사점 [선임연구원] 심수연 / 2025-19호 □ FCA는 Consumer Duty 시행 이후, 자문 공백 해소를 위해 맞춤형 지원과 간소화 자문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
□ 맞춤형 지원은 공통된 특성을 가진 소비자 집단에 사전 설계된 제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 지침보다 구체적이지만 포괄적 자문에는 해당하지 않는 중간 단계 모델임
□ 간소화 자문은 특정 단일 필요에 대해 제한적이고 신속한 개인 권고를 제공하는 제도로, 포괄적 자문 대비 절차를 단순화하여 비용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러한 제도는 소비자에게 ‘좋은 결과(good outcomes)’를 제공한다는 Consumer Duty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 영국 금융시장의 자문 공백 해소 및 소비자 보호 강화를...
□ 스테이블코인 기반 지급결제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의 주요 카드사들은 기존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제 지급 및 정산에 활용
□ 빅테크 기업들은 일부 직접 발행 혹은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결제 인프라, 암호화폐 지갑 등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 또는 계획 중
□ 일부 유통업체들의 적극적 수용, 핀테크 업체의 스테이블코인 충전용 카드 발행 등도 일반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산에 기여
□ 또한, 기존 비은... 주요국의 권고적 주주제안 특징과 시사점 [선임연구원] 정지수 / 2025-21호 □ 국내 스튜어드십 코드 제도와 관련하여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주요국에서는 권고적 주주제안을 허용하여 기후변화ㆍ인권 등 다양한 이슈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이사회 권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주주와의 소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음
□ 반면, 국내의 경우 주주제안이 주총 승인사항에 한정되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상법 체계상 권고적 주주제안이 해석상 인정되기 어렵기 때문임
□ 이에 따라 권고적 주주제안의 국내 도입을 위해 상법ㆍ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논의하는 움직임이 최근 진행되고 있음...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의 사업부문 다각화 및 시사점 [선임연구원] 이정은 / 2025-20호 □ 최근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ingapore Stock Exchange: SGX)는 역대 최고 수익을 기록
□ SGX의 주요 사업 부문은 현물-주식, 파생상품, FICC, 플랫폼 및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며, 역내 주요 거래소와 비교했을 때, SGX의 수익은 핵심 사업 부문에만 국한되지 않고, FICC와 플랫폼 부문의 수익 비중이 큰 점이 특징
□ 각 사업 부문별로 전년 대비 FY2025의 순수익 증가 요인을 살펴보면, 주식 시장 거래와 관련된 핵심 사업 부분이 가장 크게 증가한 한편, 파생상품 및 FICC 부문도 10% 내외 수준으로 증가
□ SGX는 아시아에서 멀티자산 거래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전략을 중ㆍ... 미국 퇴직연금의 대체자산 투자 허용 확대 발표 [선임연구원] 홍지연 / 2025-20호 □ 미국 정부는 최근 퇴직연금에서 가상자산, 부동산, 사모펀드 등의 다양한 대체자산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발표
□ 이번 조치는 그동안 401(k) 및 기타 DC형 퇴직연금의 대체자산 허용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했던 상황에서 사모펀드, 부동산, 인프라 등 대체자산을 적극적으로 편입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려는 의지를 반영
□ 현재 미국의 401(k) 퇴직연금 투자는 대부분 주식 및 채권 등 전통자산에 집중되어 있으나 행정명령을 통해 소송 위험이 완화되고 제도적 안정장치의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향후 수탁자는 합리적이고 사전적인 판단 과정을 바탕으로 대체자산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국내 퇴직... 영국 금융 자문 맞춤형 지원 제도 도입 및 시사점 [선임연구원] 심수연 / 2025-19호 □ FCA는 Consumer Duty 시행 이후, 자문 공백 해소를 위해 맞춤형 지원과 간소화 자문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
□ 맞춤형 지원은 공통된 특성을 가진 소비자 집단에 사전 설계된 제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 지침보다 구체적이지만 포괄적 자문에는 해당하지 않는 중간 단계 모델임
□ 간소화 자문은 특정 단일 필요에 대해 제한적이고 신속한 개인 권고를 제공하는 제도로, 포괄적 자문 대비 절차를 단순화하여 비용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러한 제도는 소비자에게 ‘좋은 결과(good outcomes)’를 제공한다는 Consumer Duty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 영국 금융시장의 자문 공백 해소 및 소비자 보호 강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