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련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최신 동향을 제공하는 격주간지
ZOOM-IN
홍콩의 금융중심지로서의 최근 전략 변화
[선임연구원] 김은화 / 2025-22호
□ 홍콩은 2019년 대규모 시위 사태와 코로나19 팬데믹, 미ㆍ중 갈등 등으로 금융중심지로서의 위상이 크게 흔들렸으나 2024년 9월 발표된 국제금융센터지수에서 다시 글로벌 3위, 아시아 1위를 회복
□ 홍콩 금융중심지 회복 전략에는 중국 본토 자본시장과의 연계 심화와 위안화 국제화의 허브로서의 기능 강화, 금융혁신을 통한 디지털금융 허브 추진 및 자산관리 허브로서의 기능 강화가 포함
□ 홍콩은 금융혁신을 선도하여 금융중심지로서의 위상을 회복했으나 그 기반이 중국 본토와의 연계 심화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구조적 리스크가 상존하며,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서방의 신뢰 약화와 제도적 불확실성 심화는 홍콩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국제 신뢰 회복을 제약하는 주요 요... 미국의 해외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 [선임연구원] 홍지연 / 2025-22호 □ 최근 미국 SEC와 나스닥은 해외 상장기업에 대한 감독 및 상장규제를 강화할 계획을 발표
□ SEC는 시장 불공정 행위와 게이트키퍼 책임을 집중 점검하고, 나스닥은 소규모 기업의 공모요건과 상장유지 기준을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
□ 이는 일부 해외기업의 상장 후 주가 급등락과 거래정지 사례가 발생하고, 회계감사 접근이 제한되면서 감독의 한계가 지적된 데에 따른 조치
□ 이번 조치는 미국 내 해외 상장기업의 회계 및 공시 투명성 제고를 통해 시장 신뢰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국내 기업 역시 미국 상장을 추진할 경우 내부통제 및 공시, 외부감사 대응 역량에 대한 사전 준비 필요성이 커질 전망... 일반 지급결제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대 [선임연구원] 김보영 / 2025-21호 □ 법정 화폐를 담보로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정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함께 시장이 급성장하였고, 이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짐
□ 스테이블코인 기반 지급결제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의 주요 카드사들은 기존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제 지급 및 정산에 활용
□ 빅테크 기업들은 일부 직접 발행 혹은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결제 인프라, 암호화폐 지갑 등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 또는 계획 중
□ 일부 유통업체들의 적극적 수용, 핀테크 업체의 스테이블코인 충전용 카드 발행 등도 일반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산에 기여
□ 또한, 기존 비은... 주요국의 권고적 주주제안 특징과 시사점 [선임연구원] 정지수 / 2025-21호 □ 국내 스튜어드십 코드 제도와 관련하여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주요국에서는 권고적 주주제안을 허용하여 기후변화ㆍ인권 등 다양한 이슈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이사회 권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주주와의 소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음
□ 반면, 국내의 경우 주주제안이 주총 승인사항에 한정되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상법 체계상 권고적 주주제안이 해석상 인정되기 어렵기 때문임
□ 이에 따라 권고적 주주제안의 국내 도입을 위해 상법ㆍ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논의하는 움직임이 최근 진행되고 있음...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의 사업부문 다각화 및 시사점 [선임연구원] 이정은 / 2025-20호 □ 최근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ingapore Stock Exchange: SGX)는 역대 최고 수익을 기록
□ SGX의 주요 사업 부문은 현물-주식, 파생상품, FICC, 플랫폼 및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며, 역내 주요 거래소와 비교했을 때, SGX의 수익은 핵심 사업 부문에만 국한되지 않고, FICC와 플랫폼 부문의 수익 비중이 큰 점이 특징
□ 각 사업 부문별로 전년 대비 FY2025의 순수익 증가 요인을 살펴보면, 주식 시장 거래와 관련된 핵심 사업 부분이 가장 크게 증가한 한편, 파생상품 및 FICC 부문도 10% 내외 수준으로 증가
□ SGX는 아시아에서 멀티자산 거래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전략을 중ㆍ...
□ 홍콩 금융중심지 회복 전략에는 중국 본토 자본시장과의 연계 심화와 위안화 국제화의 허브로서의 기능 강화, 금융혁신을 통한 디지털금융 허브 추진 및 자산관리 허브로서의 기능 강화가 포함
□ 홍콩은 금융혁신을 선도하여 금융중심지로서의 위상을 회복했으나 그 기반이 중국 본토와의 연계 심화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구조적 리스크가 상존하며,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서방의 신뢰 약화와 제도적 불확실성 심화는 홍콩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국제 신뢰 회복을 제약하는 주요 요... 미국의 해외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 [선임연구원] 홍지연 / 2025-22호 □ 최근 미국 SEC와 나스닥은 해외 상장기업에 대한 감독 및 상장규제를 강화할 계획을 발표
□ SEC는 시장 불공정 행위와 게이트키퍼 책임을 집중 점검하고, 나스닥은 소규모 기업의 공모요건과 상장유지 기준을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
□ 이는 일부 해외기업의 상장 후 주가 급등락과 거래정지 사례가 발생하고, 회계감사 접근이 제한되면서 감독의 한계가 지적된 데에 따른 조치
□ 이번 조치는 미국 내 해외 상장기업의 회계 및 공시 투명성 제고를 통해 시장 신뢰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국내 기업 역시 미국 상장을 추진할 경우 내부통제 및 공시, 외부감사 대응 역량에 대한 사전 준비 필요성이 커질 전망... 일반 지급결제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대 [선임연구원] 김보영 / 2025-21호 □ 법정 화폐를 담보로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정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함께 시장이 급성장하였고, 이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짐
□ 스테이블코인 기반 지급결제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의 주요 카드사들은 기존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제 지급 및 정산에 활용
□ 빅테크 기업들은 일부 직접 발행 혹은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결제 인프라, 암호화폐 지갑 등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 또는 계획 중
□ 일부 유통업체들의 적극적 수용, 핀테크 업체의 스테이블코인 충전용 카드 발행 등도 일반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산에 기여
□ 또한, 기존 비은... 주요국의 권고적 주주제안 특징과 시사점 [선임연구원] 정지수 / 2025-21호 □ 국내 스튜어드십 코드 제도와 관련하여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주요국에서는 권고적 주주제안을 허용하여 기후변화ㆍ인권 등 다양한 이슈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이사회 권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주주와의 소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음
□ 반면, 국내의 경우 주주제안이 주총 승인사항에 한정되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상법 체계상 권고적 주주제안이 해석상 인정되기 어렵기 때문임
□ 이에 따라 권고적 주주제안의 국내 도입을 위해 상법ㆍ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논의하는 움직임이 최근 진행되고 있음...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의 사업부문 다각화 및 시사점 [선임연구원] 이정은 / 2025-20호 □ 최근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ingapore Stock Exchange: SGX)는 역대 최고 수익을 기록
□ SGX의 주요 사업 부문은 현물-주식, 파생상품, FICC, 플랫폼 및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며, 역내 주요 거래소와 비교했을 때, SGX의 수익은 핵심 사업 부문에만 국한되지 않고, FICC와 플랫폼 부문의 수익 비중이 큰 점이 특징
□ 각 사업 부문별로 전년 대비 FY2025의 순수익 증가 요인을 살펴보면, 주식 시장 거래와 관련된 핵심 사업 부분이 가장 크게 증가한 한편, 파생상품 및 FICC 부문도 10% 내외 수준으로 증가
□ SGX는 아시아에서 멀티자산 거래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전략을 중ㆍ...